맨위로가기

미국의 일반 국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의 일반 국도는 1926년 자동차 대중화에 따라 기존 도로를 정비하여 도입된 도로 체계이다. AASHO(미국 주 고속도로 관리자 협회)에 의해 1925년 최초 계획안이 수립되었고, 노선 번호 부여 및 표지판 디자인이 결정되었다. 미국 국도는 홀수 번호는 남북, 짝수 번호는 동서 방향으로 연결되며,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구축 이후에도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하며, 현재 유료 도로로 운영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일반 국도 - 국도 제2호선 (미국)
    미국 국도 제2호선은 미국 본토 북부를 횡단하는 주요 도로로, 미시간주에서 워싱턴주까지 이어지는 서부 구간과 뉴욕주에서 메인주까지 이어지는 동부 구간으로 나뉘며, 그레이트 노던 철도와 나란히 건설되었고 자전거 관광 노선인 노던 티어의 일부 구간을 포함한다.
  • 미국의 일반 국도 - 국도 제1호선 (미국)
    미국 국도 제1호선은 플로리다 키웨스트부터 메인주 포트 켄트까지 미국 동부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주요 남북 간선 도로로, 대서양 연안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지역 교통과 관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나라별 도로 - 니시세토 자동차도
    니시세토 자동차도는 히로시마현과 에히메현 사이의 섬들을 연결하는 시마나미 해도의 자동차 전용 도로로, 여러 개의 다리로 이루어져 혼슈와 시코쿠를 육상으로 연결하며,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 도로가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고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일부 구간은 아직 미개통 상태이다.
  • 나라별 도로 - 반에쓰 자동차도
    반에쓰 자동차도는 후쿠시마현 이와키시와 니가타현 니가타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며, 태평양과 동해를 횡단하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미국의 일반 국도
지도
기본 정보
명칭미국 국도 시스템
다른 이름미국 고속도로
로마자 표기법Miguk Gukdo Siseutem
설립일1926년 11월 11일
총 연장253,838 km
관리 주체주로 주 또는 지방 정부; 번호 및 경로는 AASHTO에서 승인
노선 체계
노선 번호 형식U.S. Highway nn (US nn), U.S. Route nn (US nn)
참고
참고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은 동서 노선에 짝수를, 남북 노선에 홀수를 부여한다. 이 시스템은 남쪽과 서쪽에서 낮은 번호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주에서 같은 번호의 고속도로가 두 시스템에 모두 존재하지 않도록 일부 번호를 건너뛴다.
기타
관련 링크US
미국 국도 표지판 디자인 변화
미국 국도 표지판 디자인 변화

2. 역사

1926년 11월 11일, 미국 전역에 자동차가 대중화되면서 기존 도로를 확장 및 포장하고 도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미국의 일반 국도가 도입되었다. 노선 번호도 이때 도입되었으며,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시기까지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했다.[13]

1903년 호레이쇼 넬슨 잭슨이 자동차로 샌프란시스코에서 뉴욕까지 운전하면서 장거리 도로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했다.[16] 1910년대 초에는 링컨 하이웨이를 비롯한 장거리 도로 건설이 시작되었고, 자동차 여행로 단체들이 생겨나 장거리 자동차 여행을 위한 노선을 표시하고 홍보했다. 옐로스톤 트레일이 초기 사례 중 하나였다.[17][49]

1914년 도로 표준을 설정하기 위해 설립된 미국 주 고속도로 관리자 협회(AASHO)는 1924년 회의에서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을 계획하기 시작했다.[19] 1925년 3월 2일 "주간 고속도로 합동위원회"가 임명되었고, 4월 첫 회의에서 노선 명칭으로 "미국 고속도로"를 선택하고 미국 대통령 휘장을 기반으로 한 미국 고속도로 노선 표지판의 잠정적인 디자인을 선택했다.[20][17]

자동차 트레일 협회는 고속도로 이름 제거에 반대했지만, 번호 매기기 계획에는 합의했다. 1925년 8월 회의에서 노선 밀도에 대한 논의가 있었는데, 매사추세츠주와 뉴욕은 주요 대륙 횡단 고속도로 시스템을 선호한 반면, 많은 주들은 지역적 중요성만 있는 도로를 권장했다. 중서부는 시스템에 너무 많은 노선을 추가했다고 생각했다.[17]

1925년 당시 주요 횡단 대륙 노선과 이들이 대체한 자동차 트레일은 다음과 같다.[17][21]

남북 방향 주요 노선자동차 트레일동서 방향 주요 노선자동차 트레일
미국 1번 국도애틀랜틱 하이웨이미국 2번 국도
미국 11번 국도미국 10번 국도내셔널 파크 하이웨이
미국 21번 국도미국 20번 국도
미국 31번 국도미국 30번 국도링컨 하이웨이
미국 41번 국도딕시 하이웨이미국 40번 국도빅토리 하이웨이
미국 51번 국도미국 50번 국도
미국 61번 국도미국 60번 국도
미국 71번 국도제퍼슨 하이웨이미국 70번 국도
미국 81번 국도메리디안 하이웨이미국 80번 국도딕시 오버랜드 하이웨이
미국 91번 국도미국 90번 국도올드 스패니시 트레일
미국 101번 국도퍼시픽 하이웨이



1926년 11월 11일 미국의 일반 국도 체계가 구축되면서 각 주에서 재조정이 이루어졌다. 링컨 고속도로 협회는 US 30 지정을 확보하여 계획을 지지했지만, 다른 도로 협회들은 폐지에 대해 한탄했다.[1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증가하는 교통량에 대처하기 위해 기존 국도 일부를 확장 및 포장하여 중앙분리대와 완충 구간으로 왕복 구간을 분리하고 평면 교차를 줄이는 방식으로 주간고속도로 체계를 1956년 구축하기 시작하여 1975년에 전 구간을 개통하였다.

1956년 연방 지원 고속도로법에 따라 전국적인 주간고속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주간고속도로는 국도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특히 서부 지역에서는 많은 경우 미국 국도가 새로운 주간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10] 1964년 캘리포니아주 고속도로 번호 재지정을 시작으로 기존 국도의 대규모 폐지가 시작되었고, 1985년 66번 국도의 폐지는 미국 국도 시대의 종말로 여겨진다.[29]

1995년, 국가 고속도로 시스템은 주간고속도로 시스템과 국가 경제, 국방 및 이동성에 중요한 도로를 포함하도록 정의되었다.

2. 1. 초기 자동차 도로 (Auto trails)

1903년, 호레이쇼 넬슨 잭슨은 비포장도로, 소떼 길, 그리고 철로를 연결하여 자동차로 샌프란시스코에서 뉴욕까지 운전한 최초의 인물로 기록되었다. 언론에 보도된 그의 여정은 전국적인 화제가 되었고 장거리 도로 시스템에 대한 요구를 불러일으켰다.[16]

1910년대 초, 링컨 하이웨이를 비롯한 장거리 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자동차 여행로 단체들이 생겨나면서 장거리 자동차 여행이라는 새로운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노선을 표시하고 홍보하기 시작했다. 옐로스톤 트레일이 초기 사례 중 하나였다. 이러한 단체들 중 많은 수가 노선을 따라 있는 도시와 주정부와 협력하여 도로를 개선했지만, 다른 단체들은 회비를 지불하고 표지판을 설치하는 도시를 기준으로 노선을 선택하는 등 다른 방식을 사용했다.[17][49]

2. 2. 1925년 최초 계획안

1914년에 도로 표준을 설정하기 위해 설립된 미국 주 고속도로 관리자 협회(AASHO)는 1924년 회의에서 표시되고 번호가 매겨진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을 계획하기 시작했다.[19] AASHO는 농무장관이 주들과 협력하여 이러한 노선을 지정할 것을 권장했다.[17]

하워드 M. 고어 농무장관은 1925년 3월 2일 "주간 고속도로 합동위원회"를 임명했다. 위원회는 21명의 주 고속도로 관리들과 3명의 연방 도로국 관리들로 구성되었다. 4월 20일과 21일 첫 회의에서 이 그룹은 노선 명칭으로 "미국 고속도로"를 선택했다. 그들은 시스템이 연방 지원 네트워크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했다. 최적의 노선이 연방 자금을 받지 못하더라도 포함될 것이다. 미국 고속도로 노선 표지판의 잠정적인 디자인도 선택되었고,[20] 미국 대통령 휘장에 있는 휘장을 기반으로 했다.[17]

자동차 트레일 협회는 고속도로 이름 제거를 거부했다. 세부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6개의 지역 회의가 열렸다. 5월 15일 서부, 5월 27일 미시시피 강 유역, 6월 3일 그레이트 레이크스, 6월 8일 남부, 6월 15일 북대서양, 그리고 6월 15일 뉴잉글랜드에서 회의가 열렸다. 자동차 트레일 협회 대표들은 회의에 공식적으로 참석할 수 없었지만, 타협으로 그들은 합동위원회 위원들과 이야기했다. 협회는 마침내 명명된 트레일이 여전히 포함될 것이므로 번호 매기기 계획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에 도달했다. 잠정적인 시스템은 당시 공공 도로 주행 거리의 2.8%인 약 130356.54km에 달했다.[17]

두 번째 전체 회의는 1925년 8월 3일과 4일에 열렸다. 그 회의에서 노선의 적절한 밀도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매사추세츠주의 윌리엄 F. 윌리엄스와 뉴욕의 프레드릭 S. 그린은 주요 대륙 횡단 고속도로 시스템만을 선호했지만, 많은 주들은 지역적 중요성만 있는 많은 도로를 권장했다. 그린은 특히 뉴욕 시스템이 다른 주들에게 모범이 되도록 4개의 주요 관통 노선을 갖도록 의도했다. 많은 주들이 시스템의 범위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했지만, 중서부가 시스템에 너무 많은 노선을 추가했다고 생각했다. 그룹은 원래 스케치에서 약간의 수정을 거쳐 그 회의에서 휘장과 노선 이름 대신 번호를 매기는 결정을 채택했다. 8개의 주요 동서 노선과 10개의 주요 남북 노선을 포함한 예비 번호 매기기 시스템은 "지시 없이" 번호 매기기 위원회로 연기되었다.[17]

주들의 승인을 얻기 위해 노력한 후, 위원회는 8월 4일에 승인된 계획보다 50% 이상인 총 주행 거리의 2.6%에 해당하는 약 121987.97km로 고속도로 시스템을 확장했다. 8월 27일 BPR의 에드윈 워리 제임스가 방향에 짝수를 일치시키고 대략적인 격자를 배치한 번호 매기기 계획의 골격이 제시되었다. 이전 지도의 주요 노선에는 0, 1 또는 5로 끝나는 번호가 할당되었고(5는 곧 덜 중요한 상태로 강등됨), 짧은 연결 노선에는 그것이 시작된 주요 고속도로를 기반으로 세 자릿수 번호가 할당되었다. 5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9월 25일에 회의를 열었고, 10월 26일에 합동위원회 서기에게 최종 보고서를 제출했다.[17] 위원회는 10월 30일에 보고서를 농무장관에게 보냈고, 그는 1925년 11월 18일에 승인했다.[21]

1925년 당시 주요 횡단 대륙 노선과 이들이 대략적으로 대체한 자동차 트레일은 다음과 같다.[17][21]

남북 방향 주요 노선자동차 트레일동서 방향 주요 노선자동차 트레일
미국 1번 국도애틀랜틱 하이웨이미국 2번 국도
미국 11번 국도미국 10번 국도내셔널 파크 하이웨이
미국 21번 국도미국 20번 국도
미국 31번 국도미국 30번 국도링컨 하이웨이
미국 41번 국도딕시 하이웨이미국 40번 국도빅토리 하이웨이
미국 51번 국도미국 50번 국도
미국 61번 국도미국 60번 국도
미국 71번 국도제퍼슨 하이웨이미국 70번 국도
미국 81번 국도메리디안 하이웨이미국 80번 국도딕시 오버랜드 하이웨이
미국 91번 국도미국 90번 국도올드 스패니시 트레일
미국 101번 국도퍼시픽 하이웨이



미국 10번 국도, 미국 60번 국도, 미국 90번 국도는 전국을 약 3분의 2만 통과했고, 미국 11번 국도와 미국 60번 국도는 상당히 비스듬히 지나갔다. 미국 60번 국도의 두 가지 관례 위반은 주요 쟁점 중 하나가 되었는데, 미국 60번 국도는 결국 1926년에 미국 66번 국도로 지정되었고, 나중에는 대중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미국 101번 국도는 동쪽으로 이어진 다음 남쪽으로 워싱턴주 올림피아에서 끝난다.[22] 미국 2번 국도의 서쪽 종착역은 현재 워싱턴주 에버렛이다.[9]

2. 3. 1925-1926년, AASHO와 각 주의 재조정

1926년 11월 11일 미국의 일반 국도 체계가 구축되면서, 각 주에서는 재조정이 이루어졌다. 새로운 시스템은 지역 신문들로부터 찬반양론을 동시에 받았는데, 이는 해당 도시가 주요 노선과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달랐다. 링컨 고속도로 협회는 US 30 지정을 확보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기 때문에 이 계획을 지지했지만, 다른 대부분의 도로 협회는 그 폐지에 대해 한탄했다. 1926년 1월 14일~15일 회의에서 AASHO(미국주간고속도로관리자협회)는 불만이 쇄도했다.[17]

북동부에서는 뉴욕주가 미국 고속도로로 지정된 노선 수를 줄이려고 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표는 AASHO를 설득하여 밀집된 노선망을 추가했는데, 이는 주 경계선을 따라 6개 노선의 종착역을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중 US 220만이 여전히 주 경계선 근처에서 끝난다.) US 20가 옐로스톤 국립공원, 아이더호주, 오리건주를 통과하는 우회로처럼 보였기 때문에, 아이더호주와 오리건주는 US 30을 US 20과 태평양 연안까지 맞바꾸는 것을 요청했다.[17]

대략 동일한 두 개의 평행한 노선(종종 경쟁하는 자동차 도로) 지정에 관한 위원회의 선택과 관련하여 많은 지역 분쟁이 발생했다. 1월 회의에서 AASHO는 US 40, US 50에 분할 노선을 승인했다. 이러한 분할은 처음에는 US 40 노스와 US 40 사우스로 표시되었지만, US 40N과 US 40S로 게시되었다.[17]

가장 치열한 논쟁은 US 60 문제였다. 켄터키주는 주요 동서 노선에서 제외되고 US 62 지정을 받았기 때문에 이 지정된 노선에 강력히 반대했다. 1926년 1월, 위원회는 켄터키주 애슐랜드 동쪽의 US 52의 일부와 함께 이것을 US 60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미주리주와 오클라호마주는 반대했다. 최종 해결책은 미국 고속도로의 시카고-로스앤젤레스 구간에 US 66을 할당하는 것이었다.[17]

이미 32개 주가 노선을 표시한 상황에서 이 계획은 1926년 11월 11일 AASHO에 의해 승인되었다.[17] 1927년 4월 최초의 노선 목록이 발표될 무렵, 미국 15번 국도가 버지니아주로 연장되었다.[24]

미국 고속도로 시스템에 대한 초기 비판의 상당 부분은 이름이 아닌 고속도로를 지정하는 숫자의 선택에 초점을 맞추었다. ''뉴욕 타임스''는 "여행자는 링컨 고속도로를 운전하면서 눈물을 흘릴 수도 있고, 제퍼슨 고속도로를 질주하면서 꿈을 꿀 수도 있지만, 46, 55, 33 또는 21에서 어떻게 '흥분'을 얻을 수 있겠는가?"라고 썼다.[25]

1926년 11월 11일 승인된 최종안

2. 4. 주간 고속도로망 발족 이전 (1926-1950년대 후반)

1926년 11월 11일, 미국에서 자동차가 대중화되면서 기존 도로를 확장 및 포장하고 도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미국의 국도가 도입되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시기까지 간선도로의 역할을 수행했다.[13]

1941년 워싱턴주 시애틀(Seattle)과 오리건주 포틀랜드(Portland)를 잇는 국도의 표지판. "국방상 중요한 도로입니다. 속도가 느린 차량이나 트럭은 불필요하게 교통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십시오."라고 적혀 있다. 국도망 정비 이유 중 하나가 국가 방위였음을 보여주는 한 예이다.


1925년 미국 국도 번호 체계가 시작되었을 때, 몇몇 노선은 '북쪽', '남쪽', '동쪽', '서쪽'을 나타내는 문자를 번호 뒤에 붙여 구분했다. 미국 주간 고속도로 관리자 협회(AASHTO)는 이러한 방식을 가능한 한 제거하려 했지만, 일부 도로는 여전히 이 방식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 1934년 AASHO는 대부분의 분할 경로를 제거하고, 각 쌍 중 하나를 세 자리 또는 대체 경로로 지정하거나, 미국 37번 국도(US 37)의 경우처럼 지정하려 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미시시피, 네브래스카, 오리건, 테네시 등 일부 주에서는 이 규칙을 따르지 않았다. 1952년 AASHO는 미국 11번 국도(US 11), 미국 19번 국도(US 19), 미국 25번 국도(US 25), 미국 31번 국도(US 31), 미국 45번 국도(US 45), 미국 49번 국도(US 49), 미국 73번 국도(US 73), 미국 99번 국도(US 99)의 분할을 영구적으로 인정했다.[13]

대부분의 경우 미국 국도는 도시 간 차량 이동의 주요 수단이었다. 예외는 펜실베이니아 턴파이크(Pennsylvania Turnpike)와 같은 유료 도로와 메리트 파크웨이(Merritt Parkway)와 같은 공원 도로였다. 최초의 고속도로 중 많은 곳이 미국 국도였는데, 걸프 프리웨이(Gulf Freeway)(휴스턴)는 미국 75번 국도(US 75)를,[26] 파사데나 프리웨이(Pasadena Freeway)는 미국 66번 국도(US 66)를,[27] 풀라스키 스카이웨이(Pulaski Skyway)는 미국 1번 국도(US 1)과 미국 9번 국도(US 9)를 운행했다.[2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증가하는 교통량에 대처하기 위해 기존 국도 일부를 확장 및 포장하여 중앙분리대와 완충 구간으로 왕복 구간을 분리하고, 평면 교차를 줄이는 방식으로 주간고속도로 체계를 1956년 구축하기 시작하여, 1975년에 전 구간을 개통하였다.

2. 5. 주간 고속도로 개통 이후

1956년 연방 지원 고속도로법에 따라 전국적인 주간고속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1957년, AASHO(미국 주 고속도로 관리자 협회)는 기존 미국 국도와 반대 방향으로 번호를 매기는 새로운 주간고속도로 체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주간고속도로는 국도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특히 서부 지역에서는 많은 경우 미국 국도가 새로운 주간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10]

1964년 캘리포니아주 고속도로 번호 재지정을 시작으로 기존 국도의 대규모 폐지가 시작되었다. 1985년 66번 국도의 폐지는 미국 국도 시대의 종말로 여겨진다.[29]

주간고속도로와 연결되지 않는 주요 국도 구간도 일부 존재하는데,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에서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를 잇는 6번 국도와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를 잇는 93번 국도가 대표적이다. 93번 국도는 주간 고속도로 11번으로의 업그레이드가 계획되어 있다. 델라웨어주 도버, 미주리주 제퍼슨시티, 사우스다코타주 피에르와 같이 미국 본토의 주도 중에는 오직 미국 국도로만 연결되는 곳도 있다.

1995년, 국가 고속도로 시스템은 주간고속도로 시스템과 국가 경제, 국방 및 이동성에 중요한 도로를 포함하도록 정의되었다.

AASHTO(미국 주 고속도로 및 교통 관리자 협회)는 480km (약 482.80km) 미만의 주 내 미국 국도를 제거하는 과정에 있으며, 새로운 국도 지정은 두 개 이상의 주를 연결하고 "현재의 AASHTO 설계 기준을 상당히 충족"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고 있다.[3]

3. 노선 체계

미국 국도의 노선 체계는 주간고속도로와 비슷한 방식으로 번호가 매겨진다. 일의 자리가 홀수인 번호는 남북 방향, 짝수인 번호는 동서 방향으로 이어진다. 남북 노선은 동쪽 해안의 1번을 시작으로 서쪽으로 갈수록 번호가 커지고, 동서 노선은 캐나다 국경 근처의 2번을 시작으로 남쪽으로 갈수록 번호가 커진다.[6]

번호 체계는 비공식적으로 미국 국경 너머로 확장되기도 했다.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캐나다의 많은 고속도로가 연결된 미합중국 국도와 같은 번호를 사용하도록 재번호가 매겨졌다.

1950년대, 새로운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의 번호 매기기 격자는 미합중국 국도 격자와 의도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었다. 주간 고속도로 번호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증가하여, 동일한 번호의 노선이 서로 혼동되지 않도록 지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이다.[7]

3. 1. 번호 부여 방식

미국 국도의 노선 체계는 주간고속도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의 자리 숫자가 홀수이면 남북 방향, 짝수이면 동서 방향 노선이다. 남북 노선은 동쪽 해안을 따라 1번으로 시작하여 서쪽으로 갈수록 홀수 단위로 번호가 증가한다. 동서 노선은 캐나다 국경 근처의 2번으로 시작하여 남쪽으로 갈수록 짝수 단위로 번호가 증가한다.[6]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긴 노선은 보통 1 또는 0으로 끝나지만, 노선 연장 및 단축으로 인해 이 구분은 대체로 의미가 없어졌다.[7]

미국 국도 노선 기호 변천사


미국 국도 노선 기호는 1927년 1월에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검은 테두리와 흰 바탕에 주명, US, 노선 번호가 적혀 있었다. 1948년 글자체가 변경되었고, 1961년부터는 검은 사각형 안에 흰색 문양과 노선 번호만 적힌 형태로 바뀌었다.

현재 결번인 번호는 39, 47, 86, 88번이며, 폐지된 노선은 28, 32, 37, 38, 55, 66, 94, 99번 등 8개이다. 폐지된 노선은 다른 노선이나 주도로 전환되기도 한다.

보조 노선도 운영된다. 17-1번 국도가 유일하게 -1이 들어가는 노선이며, 끝에 A, B, E, W 등이 붙는 경우도 있다.[64] 세 자릿수 번호는 보조 국도를 나타내며, 방각 및 방향에 따라 변곡점이 크다. 세 자릿수 번호는 한두 자릿수 노선의 지선이다. 예를 들어 201번 국도는 메인주 브런즈윅에서 1번 국도에서 갈라져 캐나다까지 북쪽으로 이어진다.[9] 모든 지선이 본선과 같은 방향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다른 지선을 통해서만 연결되거나, 아예 연결되지 않고 본선 근처만 지나가기도 한다. 지선은 본선과 다른 방향으로 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522번 국도는 동서 방향인 22번 국도와 달리 남북 방향이다.[21]

1980년 이후 승인된 지선 중에는 번호 매기기 원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있다.

  • 1994년 승인된 400호선은 본선인 0호선, 100호선이 없다.[36]
  • 1982년경 승인된 412호선은 12호선과 전혀 다른 곳을 지난다.[36]
  • 1989년 승인된 425호선은 25호선과 전혀 다른 곳을 지난다.[36]


AASHTO(미국 고속도로 및 운송 관리자 협회) 지침은 특정 주 내에서 주간고속도로와 미국 국도가 같은 번호를 공유하는 것을 금지한다.[3]

3. 2. 노선 기호



미국 국도 표지판
100px


미국 국도의 노선 기호는 가운데에 큰 검은색 숫자가 있는 독특한 모양의 흰색 방패 모양으로 표시된다. 종종 방패는 검은색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배경에 표시된다.[11] 각 주는 자체 표지판을 제조하므로 미국 전역에 걸쳐 미묘한 차이가 있다. 개별 주에서는 잘라낸 디자인이나 직사각형 디자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에는 검은색 윤곽선이 있고 캘리포니아에서는 숫자 위에 "US"라는 문자가 인쇄된다.[12]

1자리 또는 2자리 방패는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크기의 방패에 동일한 크고 굵은 숫자를 표시하는 반면, 3자리 노선은 글꼴이 더 좁은 동일한 방패 또는 더 넓은 직사각형 크기의 방패를 사용할 수 있다. 특수 노선은 노선 번호 위에 배너를 표시하거나 노선 번호에 문자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지판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위치에 표시된다.

  • 정기적인 간격 또는 주요 교차로 이후에 노선 측면에 표시되어 노선과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이를 재확인 표지판이라고 함)
  • 다른 주요 도로와의 교차로에 표시되어 교차하는 교통이 선택한 경로를 따를 수 있도록 한다.
  • 고속도로와 고속화 도로의 다가오는 교차로를 나타내는 큰 녹색 안내 표지판에 표시될 수 있다.[11]


미국 국도의 노선 기호는 1927년 1월에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초기에는 검은 테두리와 흰 바탕에 맨 위에는 주명을 넣고, US와 노선 번호가 적혀 있었다. 이후 1948년 글자체가 변경되었고, 1961년부터는 검은 사각형 안에 흰색 문양과 그 안에 노선 번호만 적혀 있는 것으로 바뀌었다.

3. 3. 병주 구간 및 특별 노선

US 11은 버지니아주 브리스톨에서 US 11E(동부)와 US 11W(서부)로 나뉘며, 이 노선들은 테네시주 녹스빌에서 다시 합쳐진다.[64] 이처럼 1926년 이후로, 일부 분할 노선은 관련 지역을 연결하고 노선의 거의 동등한 분할을 나타내도록 지정되었다. 때때로 두 노선 중 하나에만 접미사가 붙는다. 펜실베이니아주의 US 6N은 서쪽 끝에서 US 6과 다시 합쳐지지 않는다. AASHTO는 1934년부터 이러한 노선들을 없애려고 노력해 왔다.[13] 현재 AASHTO의 정책은 새로운 분할 노선의 승인을 거부하고 기존 노선을 "주 고속도로국과 고속도로 상임위원회가 그에 대해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한 빨리" 제거하는 것이다.[3]

특별 노선(예: 대체 또는 우회와 같은 표지가 있는 노선)도 AASHTO에서 관리한다.[3] 이러한 노선은 때때로 A(대체) 또는 B(업무)와 같은 문자 접미사로 지정된다.

3. 4. 유료 도로

미국 자동차 협회(AASHTO) 정책에 따르면 유료 도로는 특별 노선으로만 포함될 수 있으며, "동일한 종착점 사이의 무료 노선은 계속 유지되고 미국의 국도 시스템의 일부로 표시되어야 합니다."[3] 뉴햄프셔주의 미국 3번 국도(US 3)는 에버렛 턴파이크의 유료 구간을 따르지 않아 이 의무를 충족한다. 그러나 미국의 국도 중 일부는 다음의 5개 유료 도로 구간을 포함한다.[5]

  • US 51: 일리노이주의 제인 애덤즈 기념 유료도로 일부 구간. 기존 도로는 일리노이주 251번 주도이다.
  • US 278: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유료도로인 크로스 아일랜드 파크웨이를 이용한다. 기존 도로는 US 278 비즈니스이다. 통행료는 2021년 7월에 폐지되었다.
  • US 301: 델라웨어주를 통과하는 유료 도로. 이전 노선은 무료 도로이며 여러 델라웨어주 주도를 사용한다.
  • US 412: 오클라호마주의 시마론 턴파이크를 사용한다. 기존 도로는 US 64이다.
  • US 412: 오클라호마주의 체로키 턴파이크도 사용한다. 기존 도로는 US 412 대체 노선이다.

4. 노선 번호 목록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9 30 31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 48 49 50 51 52 53 54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7 89 90 91 92 93 95 96 97 98 101 121 156 163 266 400 412 425

참조

[1] 서적 United States Numbered Highways https://web.archiv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12-03-16
[2] 웹사이트 November 13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3-08-18
[3] 서적 AASHTO Transportation Policy Book https://web.archiv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08-01-23
[4] 웹사이트 Interstate FAQ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9-06-26
[5] 지도 The Road Atlas: United States, Canada & Mexico Rand McNally
[6] 웹사이트 Ask the Rambler: What Is The Longest Road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0-04-11
[7] 서적 The Roads that Built America: The Incredible Story of the US Interstate System Sterling Publishing
[8] 웹사이트 An Application From the State Highway Department of Texas For the Establishment of a U.S. Route (U.S. 57) https://grmservice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Officials 2023-03-14
[9] 지도 The Road Atlas and Travel Guide Rand McNally
[10] 지도 United States Featuring the Interstate Highway System General Drafting
[11] 서적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https://mutcd.fhwa.d[...]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0-06-05
[12] 서적 Manual for Signing and Pavement for the National System of Interstate and Defense Highway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Officials
[13] 웹사이트 US 11 Rouses Point, New York, to New Orleans, Louisiana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1-06-09
[14] 웹사이트 2006 Traffic Count and Mileage Report https://web.archive.[...] Delawar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06-10
[15] 웹사이트 Segment Descriptions for Highway 006 https://web.archive.[...] Colorado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06-10
[16] 서적 Horatio's Drive: America's First Road Trip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17] 웹사이트 From Names to Numbers: The Origins of the US Numbered Highway System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1-06-10
[18] 뉴스 Motor Sign Uniformity 1922-04-16
[19] 서적
[20] 서적
[21] 보고서 Report of Joint Board on Interstate Highways, October 30, 1925, Approv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November 18, 1925 https://en.wikisour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11-14
[22] 지도 United States System of Highways Adopted for Uniform Marking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Officials https://commons.wiki[...]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3-11-07
[23] 웹사이트 US 22: The William Penn Highway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1-06-09
[24] 학술지 United States Numbered Highway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Officials 1927-04-01
[25] 서적
[26] 뉴스 A rare quiet interlude for area's first freeway/ Next major upgrade: Causeway in 2002 http://www.texasfree[...] 2009-06-09
[27] 웹사이트 State Route 66 http://cahighways.or[...] California Highways 2011-06-10
[28] 지도 Road Atlas https://web.archive.[...] Rand McNally 2009-06-09
[29] 학술지 Route Renumbering: New Green Markers Will Replace Old Shields https://archive.org/[...] 2011-06-10
[30] 학술지 New Signing Policy on U.S. Routes https://archive.org/[...] 2015-07-24
[31] 문서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United States Numbered Highways http://cms.transport[...] 1996-10-06
[32] 웹사이트 Toll U.S. Highways http://www.us-highwa[...] Us-highways.com 2010-04-11
[33] 웹사이트 Ask the Rambler: What Is The Longest Road in the United States? http://www.fhwa.dot.[...] Fhwa.dot.gov 2010-04-11
[34] 지도 1925 map of U.S. Highway System 2009-06-07
[35] 지도 United States Featuring The Interstate Highway System Esso
[36] 웹사이트 U.S. Highways : From US 1 to (US 830) http://www.us-highwa[...] 2006-07-04
[37] 웹사이트 Arizona DOT Right-of-Way Resolutions http://www.azhighway[...] Arizon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8-03-30
[38] PDF Establishment of a Marking System of the Routes Comprising the National System of Interstate and Defense Highways http://cms.transport[...] 1973-08-10
[39] 뉴스 'Interstate 41' on near horizon The Post Crescent 2006-12-18
[40] 웹사이트 Ross (AR04) Newsletter ? Interstate 49 http://www.house.gov[...] Congressman Mike Ross 2009-06-07
[41] 웹사이트 I-69/TTC (Northeast Texas to Mexico) http://ttc.keeptexas[...] Tex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7-08
[42] 웹사이트 I-74 four-lane to Lumberton opened http://www.i73.com/d[...] The Laurinburg Exchange 2009-06-07
[43] 웹사이트 U.S. 11 Rouses Point, New York, to New Orleans, Louisiana http://www.fhwa.dot.[...]
[44] 웹사이트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United States Numbered Highways http://cms.transport[...] 2008-01-23
[45] 웹사이트 Bannered U.S. Highways http://www.us-highwa[...] Us-highways.com 2010-04-11
[46] 검색결과
[47] PDF 2006 Traffic Count and Mileage Report http://www.deldot.go[...] DelDOT
[48] 웹사이트 Segment Descriptions for Highway 006 http://www.dot.state[...] Colorado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49] 웹사이트 From Names to Numbers: The Origins of the U.S. Numbered Highway System http://wwwcf.fhwa.do[...]
[50] 뉴스 Motor Sign Uniformity New York Times 1922-04-16
[51] 지도 United States System of Highways Bureau of Public Roads 2009-04-27
[52] 이미지 United States System of Highways 1926-11-11
[53] 웹사이트 U.S. 22: The William Penn Highway http://www.fhwa.dot.[...] Fhwa.dot.gov 2010-04-11
[54] 간행물 United States Numbered Highways American Highways (AASHO) 1927-04
[55] 서적 The Roads that Built America: The Incredible Story of the U.S. Interstate System Sterling Publishing Co., Inc.
[56] 웹사이트 U.S. 11 - Rouses Point, New York, to New Orleans, Louisiana http://www.fhwa.dot.[...] Fhwa.dot.gov 2010-04-11
[57] 웹사이트 Divided (Split) Routes http://www.us-highwa[...] U.S. Highways 2010-04-11
[58] 웹사이트 Alaska's U.S. Highway(s) http://www.us-highwa[...] Us-highways.com 2010-04-11
[59] 뉴스 A rare quiet interlude for area's first freeway Next major upgrade: Causeway in 2002 http://www.texasfree[...] Houston Chronicle 2009-06-09
[60] 문서 California Highways: State Route 66 http://cahighways.or[...]
[61] 지도 p. 42: New York and Vicinity http://www.broermaps[...] Rand McNally
[62] PDF Route Renumbering http://www.gbcnet.co[...] California Highways and Public Works 1964-03
[63] 웹사이트 north?south routes http://www.us-highwa[...] U.S. Highways 2010-04-11
[64] 문서 국도 제31E호선, 국도 제31W호선 등의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